부산시에서 교통약자를 위해
무장애(Barrier-Free) 교통 도시 조성을 위한
스마트시티 챌린지 서비스 실증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 개요
○ 2020년 5월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선정되어,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Barrier-Free) 교통 환경 구현'을 목적으로 추진
※ BF(Barrier-Free) : 고령자나 장애인들도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 제도적 장벽을 허무는 것
○ 부산시는 산복도로가 많고 노인과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비율이 높은 부산시 동구 지역을 대상으로 올해 1월 실증 서비스를 오픈 후, 리빙랩 사용자 검증단 및 장애인협회/단체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이용자 관점에서의 편의성 제고
■ 무장애 교통 환경 주요 서비스
○ 배리어 프리 내비게이션
○ 배리어 프리 스테이션
○ 배리어 프리 승차공유 플랫폼
<무장애 교통 환경 서비스 상세 소개>
■ 교통약자를 위한 배리어 프리 내비게이션
○ 실내 공간에서 교통약자에게 최적의 이동경로 및 환승 경로를 키오스크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 키오스크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패드 및 음성지원 기능,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어와 자막 기능 지원
○ 센서를 통해 키오스크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노인 등이 편하게 이용 가능


■ 교통약자를 위한 배리어 프리 스테이션
○ 교통약자를 배려한 안내 및 편의시설을 갖춘 정류장이자 승차공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거점 역할 수행
○ 승차공유 앱과 연계한 동승택시 도착정보, BIT 시스템과 연계한 버스 도착정보 제공
○ 휠체어를 타고 들어갈 수 있는 2개의 입구에, 발열카메라, 비상호출 버튼, CCTV, 냉난방, 공기청정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 제공


■ 교통약자를 위한 승차공유 서비스
○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무상카풀, DRT(수요응답형교통), 택시동승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제공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 정해진 노선을 스케줄대로 운행하는 일반 정규노선이 아니라, 이용자의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여러가지 노선으로 변형시켜 운행하는 새로운 이용자 맞춤형 대중교통시스템


news.mt.co.kr/mtview.php?no=2021030309468256572
부산시, 스마트 기술 활용, 무장애 교통서비스 환경 조성 추진 - 머니투데이
(부산=뉴스1) 박채오 기자 = 부산시는 '2020 스마트시티 챌린지 예비사업' 실증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무장애 교통서비스 환경을 조성할...
news.mt.co.kr
'스마트시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타운 챌린지 사업 선정 동향 (국토부) (0) | 2021.03.22 |
---|---|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사업 및 규제샌드박스 승인 동향 (국토부) (0) | 2021.03.05 |
2021년 스마트챌린지 사업 공모 현황 (국토부) (0) | 2021.01.16 |
부르면 찾아오고, 지정 주차장소로 찾아가는 '자율주행 킥보드' (0) | 2020.10.07 |
ICT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폴 시범 구축 (서울시) (0) | 2020.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