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뉴딜 선도할 공공데이터 25개 분야 개방
□ 행안부, '2020년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업' 착수
○ 자율주행, 헬스케어 관련 데이터 등 신산업 촉진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산림 미세먼지, 산사태 데이터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데이터 25개 분야를 2020년 말까지 개방
※ 국가중점데이터 : 국민, 기업 수요조사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데이터 활용도와 중요성이 높은 분야 중심으로 선정하고, 품질개선·DB구축·오픈API 개발 등 활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정제 및 가공 후 개방하는 양질의 데이터
※ 부동산종합정보, 국가공간정보 등 국가중점데이터 96개 분야 개방 중 (data.go.kr)
□ 자율주행 영역 개방 데이터
○ 자동차에서 획득한 영상 및 센서정보 등의 기초정보와 드론, 디지털 공간정보 등을 융합한 정보 등 지능형자동차 인식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표준데이터
○ 경찰관과 교통안전요원의 수신호 등 도로 위 비정형특성 인지정보데이터 등
□ 헬스케어 영역 개방 데이터
○ 의료기기 제조업, 수입업, 재심사·행정처분 관리 등 의료기기 제조와 관련된 사전·사후 단계의 의료기기 안전정보
○ 식의약품·화장품·수입 위생용품과 관련된 식의약품 유통데이터
□ 재난안전 영역 개방 데이터
○ 과거 산사태 발생정보, 사방댐정보, 산악기상관측정보, 산사태위험지도 등의 산사태 관련 데이터
○ 화재원인과 화재현황 등의 화재 관련정보 및 구조구급활동 정보
<2020년 국가중점데이터 개방사업 (25개 분야)>
□ 자율주행 8개 분야
○ 시험주행환경인식 센서융합정보(한국자동차연구원)
○ 지능형자동차 인식기술 개발지원 표준DB 정보(공간정보연구원)
○ 제로셔틀 데이터, 자율주행 통합관제 데이터(경기도자율주행센터)
○ 도로상 비정형특성 인지정보(광주과학기술원)
○ 주요 고속도로 주행환경인식 센서융합정보(국토지리정보원)
○ 정밀 도로지도(국토지리정보원)
○ 자율주행 딥러닝 학습정보(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헬스케어 5개 분야
○ 의료기기 안전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 방사선 조사 식품 및 농약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 마약 및 희귀의약품 생산 및 유통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 화장품 및 수입위생용품 유통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 해부학 그림 및 의료행위·기록·설명 그림 정보(사회보장정보원)
□ 스마트시티 1개 분야
○ 스마트 안전운전 실증정보(제주도)
□ 금융정보 1개 분야
○ 국고보조금 통합정보(기획재정부)
□ 생활환경 4개 분야
○ 산림 미세먼지정보(국립산림과학원)
○ 산업부문 에너지사용·온실가스배출량 정보(한국에너지공단)
○ 굴뚝 대기오염물질 정보(한국환경공단)
○ 폐기물 통합 반입정보(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재난안전 6개 분야
○ 구조구급활동정보(소방청)
○ 국가화재정보(소방청)
○ 산사태정보(산림청)
○ 가뭄대응정보(한국수자원공사)
○ 해외안전융합정보(외교부)
○ 안전취약시설물관리 정보(한국시설안전공단)
※ 개방되는 데이터가 유용하게 잘 활용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