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지자체 정보통신(ICT, 비대면) 우수 서비스 후보
□ 행안부, 제25회 지방자치단체 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 온라인 국민투표 진행 (2020.8.)
○ 광화문1번가를 통해 지자체 정보통신 우수사례 국민투표 진행 (20.8.17.~20.8.21.)
※ 광화문1번가, 제25회 지자체 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 온라인 국민투표 링크
□ 온라인 국민투표 후보
○ 지역 스마트 안심존 구축
○ 폐기물 운반차량 지능형 검색 서비스 구축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IoT 데이터 기반의 도심하천 수질감시시스템 운영기술 개발
○ 차량통제 및 침수알림시스템 구축
○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우수사례 후보 주요 내용>
□ 지역 스마트 안심존 구축
○ 대중밀집지역에 공공WiFi, CCTV, 구정정보 및 재난 안내용 동영상 로고젝터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는 복합, 다기능 스마트 안심존 구축
- CCTV 및 비상벨 설치를 통한 구민안전 서비스 제공
- 무료 WiFi 제공을 통한 통신복지 사각지대 해소
- EMS 서버를 통해 기상청 데이터(미세먼지, 날씨 등) 및 구정 홍보를 실시간 표출
- 재난 발생 시 스피커 및 로고젝터를 통한 시각, 청각 재난 안내 동시 제공
※ 기존 로고젝터의 경우 이미지 필름 투사 방식으로 제공 정보에 한계가 있음
□ 폐기물 운반차량 지능형 검색 서비스 구축
○ CCTV 영상정보 차량번호 실시간 분석 기반 구축
- 관내 차량번호인식 CCTV 86대 활용 실시간 차량번호 수집
○ 폐기물 운반차량 DB와 지능형 분석시스템 연계 구축
- 한국환경공단 올바로 시스템의 폐기물 운반차량 DB 연계
○ 폐기물 운반차량 DB 지능형 분석
- 수집된 차량번호와 폐기물 운반차량 DB 분석
○ 폐기물 운반차량 이동경로 DB 전송 및 검색시스템 구축
- 관내 폐기물 운반차량 이동경로 실시간 전송
- DB 저장 및 검색 기능 부여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IoT 데이터 기반의 도심하천 수질감시시스템 운영기술 개발
○ 수질오염사고 발생 가능성 있는 도심하천 등을 중심으로 실시간 수질측정 이동형 수질감시시스템 설치 및 운영
- 이동형 수질감시시스템과 기존 수질자동측정망과의 연계로 수질 취약지역 실시간 수질감시 및 수질데이터 통합
- 상하반기 갈수기 시, 현장 수질측정항목 DO, ph, 수온, 탁도, 전기전도도, 클로로필-a 등 6개 항목 24시간 실시간 수질 측정
- 태양광 자체 발전 등 친환경시스템 구축, GPS 장착을 통한 위치정보 활용
○ 물환경 빅데이터(IoT)와 AI가 연계된 수질 이상에 대한 체계적인 예측시스템과 원인 분석 등 선제적 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수단 마련
- 물환경 기초자료 및 시계열 빅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 수질이상 예측모델 개발
□ 차량통제 및 침수 알림시스템 구축
○ 집중호우 예보시 차량 통제
- 수위 센서를 설치하여 일정 수위 상승 시 차량 진입 차단
- 문자 전광판을 통해 기상상황 및 차량 통제 상황 표출
○ 주차차량 차주에게 기상특보에 따른 이동주차 안내 문자 송출
- 출입구 차량번호인식기로 차량번호 취득, 의무보험 가입 관리 전산망 조회를 통하여 차주 연락처 조회
□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안전서비스 구축
○ 시작장애인을 위한 딥러닝 기반 BIT 음성인식 시스템 구축
- 시각장애인이 키패드 및 음성으로 명령하여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현
○ 저청각자를 위한 텔레코일 존 시스템 구축
- 보청기의 텔레코일을 활용, 외부 소음을 차단하여 명료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현
○ 교통약자를 위한 승객 대기 인식 시스템 구축
- 멀리서도 버스 운전자가 교통약자 승객의 대기 상황을 알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기후이상으로 비도 많이 내려 피해가 큰데, 집중호우 시 차량 통제 서비스 좋을 것 같네요.
※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안전 서비스'는 동일한 우수사례 발표대회(제24회, 2019년)에서 제주도가 수상한 서비스인데, 이번에는 좀 더 고도화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