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에서 인공지능 CCTV 관련해서 시장규모, 제품 등에 대해서 정리한 기사입니다.
□ 국내 인공지능 CCTV와 영상분석 시스템 시장 규모
○ 업계에서는 국내 인공지능 CCTV와 영상분석 시스템 시장 규모를 약 1,000억원 내외로 보고 있음
○ 지자체 등 공공기관의 시장 규모가 50%, 민간 기업의 얼굴 인식과 화재 감시, 매장 관리 시장 규모가 25%, 그 외에 C-ITS 분야의 시장 규모로 분석
□ 인공지능 CCTV의 중요한 기능으로는 '식별의 정확성', '지속적인 학습(딥러닝)', '오알람과 오경보 최소화', '호환성', '정보검색' 등의 순으로 꼽힘
□ 국내 인공지능 CCTV와 영상분석 시스템의 기술력 수준
○ 중국이나 미국, 유럽 등에서 인공지능 CCTV 및 영상분석 시스템을 서버기반으로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몇몇 업체에서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나, 임베디드 기반의 AI CCTV 영상분석 기술은 중국 업체에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라고함
○ 국내 CCTV 환경에 맞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보다 기존에 공개된 알고리즘을 활용해 만드는 경우가 많다며, 인공지능 기술은 특정 환경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어 국내 환경에 맞춰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관제 정확도가 올라간다는 견해도 있음
○ 현재 국내 영상분석 기술은 시나리오별 영상분석, 운영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사람 등을 구분해 검색 가능한 선별관제, 녹화된 영상에서 관심 대상만 선택해 영상을 검색하는 기능 등 객체가 있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출해 관제하는 선별관제까지 가능하다고 함
○ 무엇보다도, 인공지능 CCTV와 영상분석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의 활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함
□ 주요 제품과 솔루션 소개
○ 마크애니의 '스마트아이'
○ 벡터시스의 '몰입형 자동추적시스템'
○ 씨프로의 'VCA 엣지'
○ 아이브스의 '온 다바이드 AI 제품 ISD-1000iOK-C'
○ ITX엠투엠의 'AI Box'
○ 지인테크의 '적응형 영상감시 시스템'
○ 쿠도커뮤니케이션의 'Smart AI'
○ 트루엔의 'TN-P8 시리즈'
○ 한화테크원의 '와이즈넷 P시리즈 AI 카메라'
영상보안시장 지각변동 이끈다! AI CCTV&영상분석 시스템 집중진단 (보안뉴스)
※ 스마트방범의 핵심 역할을 할 인공지능 CCTV 솔루션에 대해서 쭈욱 살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인공지능 CCTV는 '인공지능 학습'과 '식별의 정확성' 이슈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스마트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과 군부대 상황실 간 CCTV 연계 서비스 (국토부, 국방부) (0) | 2020.08.24 |
---|---|
중국 14억인구를 인공지능 CCTV 6억대로 감시 (0) | 2020.07.09 |
'관악구 vs 양주시' 1인 여성가구 위한 여성 안전 서비스 비교 (0) | 2020.07.09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과 여성안심앱 연계 서비스 추진 (0) | 2020.06.26 |
2020년 지능형 CCTV 시범사업 소개 (0) | 2020.06.25 |